논문스터디 : Swapping Autoencoder for Deep Image Manipulation

이름 Swapping Autoencoder for Deep Image Manipulation
저자 Taesung Park, Jun-Yan Zhu, Oliver Wang, Jingwan Lu, Eli Shechtman, Alexei A. Efros, Richard Zhang
토픽 Image Editing
년도 2020.07
학회 NeurIPS 2020
링크 [논문], [코드1], [코드2]

Image Texture Swapping 예시

Intro

Swapping Autoencoder는 여타 GAN Inversion / Editing 처럼, 실제 이미지에 대한 수정 을 가능케 합니다.
이전까지 해당 분야의 많은 논문들은 이미지 수정 시 (의도되었든 의도되지 않았든) 입력 이미지에서만 존재하는 정보이미지 도메인 전반에 존재하는 정보를 분리해서 생각해왔고,
(예시 : Image Cartoonization 실행시, 입력 이미지의 얼굴 구조카툰 도메인에서의 텍스쳐 및 구조 정보),
이를 위해 대체로 supervised training을 사용해 왔습니다.
저자들은 이 문제를 unsupervised training으로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해당 논문의 핵심은 AutoEncoder 구조상에서 이미지를 구조와 텍스쳐라는, 독립적인 두 요소로 나누어서 Image Encoding을 수행한 후,
서로 다른 이미지에서 나온 구조와 텍스쳐를 합쳐서 Generation을 거쳐도 실제 이미지와 유사하도록 훈련하는 것에 있습니다.
(논문에서 구조는 이미지 안에서의 시각적 패턴을, 텍스쳐는 그 외의 정보들을 뜻합니다. 해당 논문을 인용한 다른 논문들에서는 구조 (structure)를 content로, 텍스쳐 (texture)를 style로 쓰기도 하며, 구조와 텍스쳐가 일반적인 관념만큼 잘 떨어지는게 아니기 때문에 해석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 논문리뷰에서는 ‘구조’를 미시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2차원 정보로, ‘텍스쳐’는 거시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1차원 정보로 정의합니다.)

구조와 텍스쳐를 보다 잘 나누기 위해, 저자들은 이미지 패치 단위로 확인하는 Discriminator를 사용해서 구조 latent code는 구조를,
텍스쳐 latent code는 텍스쳐를 encoding 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Swapping Autoencoder 이미지 보간, 이미지 구조 / 텍스쳐 분리 및 수정, 이미지 편집 등 다양한 이미지 수정 임무를
기존 유사한 시도들과 비교했을 때 시각적으로도 좋은 결과물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저자들은 StyleGAN 같은 unconditional image generation 논문들(과 거기서 파생된 Inversion Methods)과 비교하면서,
해당 논문들은 사전에 정의된 분포에서만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실제 이미지들에 잘 적용되지 않거나, 느리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키워드

  • 미시적 구조와 거시적 텍스쳐의 분리된 encoding
  • AutoEncoder 구조

모델 구조

Model overview

이름에서 보이듯, Swapping Autoencoder의 기본적인 구조는 Encoder와 Generator, Discriminator로 이루어진 Autoencoder입니다.
이 때, Discriminator 디자인은 StyleGAN2에서, Encoder/Generator 블록 구조는 ResNet에서 사용했습니다.

저자들은 3가지 목적을 가지고 해당 모델의 구성 및 훈련 계획을 세웠습니다; 1. 정확한 이미지 재구성, 2. 서로 다른 요소들을 encoding하는 latent code, 3. 이미지 패치 단위 Discriminator를 통한 구조-텍스쳐 분리.
이중 첫 번째 목표인 이미지 재구성의 경우, 기존과 동일한 reconstruction loss와, Discriminator를 사용한 GAN loss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mathcal{L}_{\text{rec}}(E,G) = \mathbb{E}_{x \sim \mathbf{X}} [||x - G(E(x))||_1]\] \[\mathcal{L}_{\text{GAN, rec}}(E,G,D) = \mathbb{E}_{x \sim \mathbf{X}} [-\text{log}(D(G(E(x))))]\]

Latent Code Swapping

Latent Code는 앞서 말했듯이 구조($z_s$) 와 텍스쳐($z_t$)로 나뉘며, 구조는 (효과적인 구조 인코딩을 위해) 2D latent space를, 텍스쳐는 1D latent space를 사용합니다.
Encoder 상에서는 4개의 Downsampling ResNet 블록을 거친 후, convolution layer를 통해 $z_s$를 구하는 구간과, convolution layer 와 average pooling layer를 통해 $z_t$를 구하는 구간으로 나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텍스쳐 ($z_t$)는 구조적 정보가 결여되어 거시적 텍스쳐 정보만을 인코딩하며, 구조 ($z_s$)는 좁은 receptive field를 통해 미시적 구조 정보를 인코딩하게 됩니다.

(256 * 256 해상도의 이미지가 있을 때, $z_s \in \mathbb{R}^{16 \times 16 \times 8}$이며 $z_t \in \mathbb{R}^{1 \times 1 \times 2048}$ 입니다.)

이때, 이렇게 분리된 latent code들이 여전히 진짜같은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GAN loss를 추가로 사용합니다.

\[\mathcal{L}_{\text{GAN, swap}}(E,G,D) = \mathbb{E}_{x^1, x^2 \sim \mathbf{X}, x^1 \neq x^2} [-\text{log}(D(G(z^1_s, z^2_t)))]\]

즉, (훈련 시 랜덤하게 뽑힌) 서로 다른 이미지 $x^1, x^2$ 와 거기서 나온 latent code $(z^1_s, z^1_t), (z^2_s, z^2_t)$들이 있을때,
이미지1의 구조를 encoding한 $z^1_s$과, 이미지2의 텍스쳐를 encoding한 $z^2_t$를 Generator에 넣어도, 실제 같은 이미지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하는 Loss 입니다.

기존 GAN이나 VAE처럼 gaussian latent space를 추구하는 다른 논문들과는 달리, 저자는 latent space의 분포에 어떠한 정해진 분포를 사용하지 않으며, 다만 개별적인 이미지들의 수정이 말이 되게 이루어지는지만 확인합니다.
(그러나 필자는 간단한 오토인코더 구조를 쓰는 상황에서 이 말이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StyleGAN 처럼 w space, s space 처럼 분포를 배우는 것과 비교했을 때 결정적인 이점이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Patch Discriminator : 패치간 텍스쳐 균일 여부

위의 방식대로 latent code를 나눌 순 있었지만, 나눠진 code들이 각각 structure와 texture를 encoding하기 위해서 저자들은 Patch Discriminator를 새로 추가한다.
이 Discriminator의 전제는, 텍스쳐가 같은 이미지들의 부분들은 (구조 정보가 누락되어 있으므로) 서로 유사해야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 전제를 위해 Discriminator는 텍스쳐의 base가 되는 원본 이미지 $x^2$와 그 이미지에서 텍스쳐를 뽑아 새로 만든 변조 이미지 ($G(z^1_s, z^2_t)$) 간의 이미지 패치들을 랜덤하게 선정해서, 그 패치들이 서로 같은 분포에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이 때, 원본 이미지에서는 여러 장의 패치들을, 변조 이미지에서는 한 장의 패치를 랜덤하게 선택해서, 변조 이미지의 패치가 원본 패치들의 분포에 있는지를 확인하며, 전체 이미지의 크기에 비례해 1/16 ~ 1/64 크기가 되도록 패치를 뽑습니다.

이러한 텍스쳐에 대한 전제는 Julesz의 텍스쳐 인지론에 영향을 받았다고 저자들은 밝힙니다.

\[\mathcal{L}_{\text{CooccurGAN}}(E,G,D_{\text{patch}}) = \mathbb{E}_{x^1, x^2 \sim \mathbf{X}} [-\text{log}(D_{\text{patch}}(\text{crop}(G(z^1_s, z^2_t)), \text{crops}(x^2)))]\]

실험 및 결과

저자들은 얼굴 (FFHQ), 동물 (AFHQ), 건축물 (LSUN Churches, Bedrooms), 그림 (Portrait2FFHQ), 자연물 (Flickr Mountain, Waterfall) 등 다양한 데이터셋에 대해 실험을 실시했고,
이 중 그림, 자연물 데이터셋 등은 직접 수집해서 제작했습니다.

비교군으로는 Image2StyleGAN, STROSS, WCT을 선정했습니다.

reconstr

Image Embedding (이미지 $x$ 를 latent code $z$로 바꾸고 reconstruction이 얼마나 잘 되는지) 에서 Image2StyleGAN 과 LPIPS metric으로 비교했을 시,
LSUN Church를 제외한 데이터들에서 높은 성적을 기록했고 AutoEncoder 구조상 속도도 1000배 가까이 빠른 모습을 보입니다.
Image2StyleGAN과만 비교했기 때문에 SOTA 급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image reconstruction이 뿌옇지 않고 미시적인 구조들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
빠른 속도로 Image Embedding / Reconstruction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습니다.

swap2

두 이미지의 구조와 텍스쳐를 섞어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Image Editing의 경우,
저자들은 Amazon Mechanical Turker (이하 AMT) 들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행해서
Swapping AutoEncoder가 타 모델 대비 더 자연스러운 편집을 해준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놀라운건 별도의 semantic input이 없이도 하늘, 건물 벽, 지면 등의 요소들이 일관되게 텍스쳐가 바뀌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늘의 색깔이 건물에 스며들거나, 건물 텍스쳐가 땅에 입혀지는 일이 거의 없이 알맞게 들어갔습니다.)

interp1 editing

Latent code 에 대한 interpolation을 통한 image translation / editing도 부드럽게 되었습니다.
가령 그림을 사진으로 바꾸는 태스크에서 저자들은 그림과 사진을 같이 훈련 시킨 후, 그림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의 latent code와 사진 latent code들의 차이를 계산해서, 그 차이만큼 입력에 적용사키는 걸로 그림에서 사진으로의 image translation을 실행합니다.
이런 비교적 단순한 코드 적용으로도 자연스러운 image translation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2D 구조 latent code 위에 그림판으로 그리듯 수정하는 식으로 image editing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전에 PCA로 뽑은 latent vector들을 추가하는 식으로)

정리

Swapping AutoEncoder는 Image Editing task에 있어서 굳이 Unconditional Image Synthesis –> GAN Inversion을 거칠 필요가 없으며, AutoEncoder 구조로도 효과적인 Image Editing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